건강의학

두통·어지럼증 잦다면..'머릿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의심을

컨텐츠 정보

본문

뇌혈관 벽 문제 생겨 붓는 질환

- 비파열성, 무증상인 경우 많아
- 동맥경화증 등 위험 인자 꼽혀
- 30대 이상·여성에 유병률 높아
- 금주·금연하고 조기 검사 필요

주부 A(45) 씨는 평소에 없던 두통과 어지러움이 근래 자주 나타났다. 머리가 묵직하게 느껴지고, 밤에 자다가 손도 자주 저렸다.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으니 뜻밖에도 ‘뇌동맥류’라는 얘기를 듣고 깜짝 놀랐다. 이는 ‘머릿속의 시한폭탄’이라 불릴 만큼 무서운 뇌혈관 질환이다. 이와 관련해 진료받는 환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고신대복음병원 신경외과 박정현 교수의 도움말로 뇌동맥류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해 짚어봤다.

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뇌동맥류는 40~60대 연령에서 빈발하고, 남성보다 여성 발생률이 더 높다. 고신대복음병원 신경외과 박정현(안쪽) 교수가 뇌동맥류 환자에 대한 시술을 진행하고 있다.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비정상적으로(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혈관 질환을 말한다. 뇌동맥류가 터져 출혈로 증상이 나타나는 것과 뇌동맥류가 주변 신경조직을 압박해 비정상적인 신경 증상이 일어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 중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건강검진이나 다른 질환으로 MRI 및 CT 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알게 되는 빈도가 점점 늘어난다. 두통과 어지러움 등으로 영상검사를 받으면서 뇌동맥류가 발견된 경우에도 증상과 연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사망률이 높고, 8~20% 정도는 뇌 손상으로 의존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 당뇨, 흡연 등이 위험인자로 꼽힌다. 발병 연령대를 보면 40~60대에서 빈발하고, 30대 이상부터 유병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30대 이상부터 혈관 영상검사 등으로 뇌혈관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통 뇌동맥류는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파열 가능성이 높아지며, 위치 및 형태도 파열과 연관성이 있다. MRA나 MRI 검사에서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처음 발견됐을 경우, 크기가 작은 것은 영상검사로 추적 관찰할 수 있지만 파열 위험도에 따라 시술이나 수술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또 비파열성 동맥류는 30세 이상과 여성에게서 유병률이 더 높다. 파열성 동맥류 또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2배 정도 높게 발생한다. 그 이유는 여성호르몬의 역할 때문으로 추정된다. 폐경 전 여성이나 첫째 아이를 늦게 낳은 경우, 월경을 늦은 나이에 시작한 경우 등은 동맥류 파열 위험도가 낮다는 보고도 있다.

유전적 요인도 전혀 무시할 수 없다. 가족성의 비파열성 동맥류 발생은 7~9%에 이르고, 뇌지주막하 출혈의 약 10%는 가족력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만일 가족력이 있으면서 다발성 뇌동맥류가 발견되면 30대에 최고 파열 빈도를 보인다. 따라서 조기에 혈관 영상검사를 실시해 뇌동맥류에 대한 판단이 이뤄져야 한다.

뇌동맥류 치료방법은 크게 ‘코일 색전술’과 ‘클립 결찰술’ 두가지로 나뉜다.

고신대복음병원 박정현 교수는 이에 대해 “전자는 혈관 내 치료법으로 대퇴동맥으로 뇌동맥류에 접근해 동맥류의 혈관 내부를 코일로 채워 동맥류에 뇌혈류가 가지 않게 하는 시술이다. 후자는 두개골 절개술로 뇌동맥류에 접근해 혈관 외부에서 뇌동맥류를 결찰하고 뇌혈류가 동맥류에 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며 “치료법은 해당 혈관의 위치나 형태,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만일 코일 색전술을 받을 때는 혈관 내 외부 물질이 들어오게 돼 혈전 생성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시술 후에는 아스피린 같은 항혈소판제제를 한동안 복용해야 한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그리고 비파열성 뇌동맥류에 대한 시술과 수술은 모두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뇌혈관 건강에 좋은 생활요법은 심혈관 질환과 동일하다. 그 중에서 혈관 죽상경화증 예방과 고혈압 관리, 금주·금연이 핵심적 요소라고 박정현 교수는 강조했다.

 

*출처: 국제신문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8 / 5 페이지
RSS
알림 0